2023. 7. 14. 16:46ㆍ카테고리 없음
Amazon Redshift > 클러스트 생성
클러스터 식별자 : 원하는 이름 적시
클러스터 크기 선택 : 직접 선택
노트 유형 :(예시) ra3.xlplus 기본 노드는 2node 이나 1 node 변경시 스토리지 용량 4TB
2node 인경우 64TB
데이터 베이스 구성
관리자 사용자 이름 : 이름 적시
관리자 사용자 암호 : 암호 적시
연결된 IAM : (먼저 생성해 놓으면 편함,나중에 변경해도됨) IAM > role > create > ~-role ( 필요한 권한에 대해
고객 관리형 정책과 AWS 관리형 만들어서 붙임)
추가구성 기본값에서 off
네트워크 및 보안 : 기 생성된 VPC 선택 , VPC 보안 그룹 ( 생성 이후 신규 sg 붙일수 있음) , 클러스터 서브넷 그룹 (db subnet 선택)
가용영역 : dev 계에서는 비용적 문제로 AZ 미 사용시 가용영역 한군데만 지정
데이터베이스 구성
데이터베이스 이름 : 오라클 sid 처럼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이다 예를 들어 내차에 애칭을 만들어 부르는것으로 ~@데이터베이스네임으로
접속을 할수 있다
데이터베이스 포트 : defalut port를 지양하면(5439) 앞에 숫지를 붙이자 (예 : 45439)
파라미터 그룹 : (먼저 생성해 놓으면 편함)
Amazon Redshift>구성>워크로드 관리>생성 [파라미터 그룹 이름: 원하는 이름] , 향후 변경사항 있을시 편집해서 저장
암호화
AWS Key Management Service(AWS KMS) 사용
기본 Redshift 키
유지 관리,모니터링, 백업 : default
--> create후에도 초기값 변경 가능하다.. 단 변경 하는 내용에 따라 반영되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될수 있다
ra3.xlplus(단일 노드) | 4 | 32 | 2 | 4TB | 1 | 4TB3 |
ra3.xlplus(다중 노드) | 4 | 32 | 2 | 32TB | 2~164 | 1,024TB4 |
ra3.4xlarge | 12 | 96 | 4 | 128TB | 2~325 | 8,192TB5 |
ra3.16xlarge | 48 | 384 | 16 | 128TB | 2~128 | 16,384TB |
관련 URL : 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redshift/latest/mgmt/working-with-clusters.html